[현장연결] 질병청 "75세 이상 접종 2주후 백신효과 AZ·화이자 모두 100%"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가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]<br /><br />총 누적 확진자는 11만 4,646명입니다.<br /><br />현재는 8,371명이 격리 관리 중에 있으십니다.<br /><br />위중증 사례는 99명이고 사망자는 어제 4명이 보고되어 누적 사망자는 1,801명으로 치명률은 1.57%입니다.<br /><br />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께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어제 발생한 세부 확진 사례에 대해서는 보도자료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주간 발생 동향과 위험요인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주간에는 평균 하루 621.2명의 확진자가 보고되어 직전 주보다는 7.2%가 증가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그래프를 보시면 최근 3주 계속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외 유입 확진자는 최근 1주간 일일 평균 22명으로 약간 증가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적으로 일평균 확진자 수는 600명대 초반으로 권역별로는 수도권 그리고 호남, 경남권에서 지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그 외의 지역에서도 유행이 유지되어 전국적인 유행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한 주 동안의 주요한 감염경로를 보시면 가족이나 지인, 직장 동료 등 선행 확진자하고의 접촉으로 인해서 발생한 경우가 47.4%로 가장 많아 주로 가까운 동료나 지인 간의 접촉으로 소규모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집단발생 관련해서도 19.1%가 보고되었으며 병원 및 요양시설에서의 감염은 59명, 1.3%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감염경로 조사 중인 사례가 1,296명으로 28.8%로 계속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25%를 초과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신규 집단발생은 주요한 보고가 20건이 보고가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주로 직장 그리고 의료기관, 요양시설에서도 4건이 보고가 되었고 가족, 지인 간의 모임 그리고 교회 그리고 주로 학교 등에서의 신규 집단발생이 보고가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사례는 전주 대비 감소하고 있고 2월 중순경부터는 계속 100명대를 유지를 하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사망자 수는 소폭 늘었지만, 치명률은 1.62%에서 1.58%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사망자는 모두 60세 이상 어르신이고 80대 이상 어르신이 이 중에 45%로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 국내 감염 확진 사례 중에 외국인의 비율은 설 연휴 이후에 증가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외국인에 대한, 외국인 사업장에 대한 중점관리를 통해서 지속 감소해서 현재는 3.8%를 차지하고 있고 지난주에 비해서는 약간 증가하였지만 계속 감소 추세에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변이 바이러스 발생 현황에 대해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방역당국은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 분석 및 발생을 확인하기 위해서 감시와 분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월 이후에는 전장 유전체 분석과 함께 좀 더 신속하게 유전자 분석을 하기 위해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만을 타깃으로 해서 하는 부분 유전체 분석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확진자 중에 변이 바이러스 여부를 분석하는 비율은 1월 대비 3월에는 5배가 증가해서 현재는 전체 확진자의 17.<br /><br />9% 정도를 분석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해외 유입 사례에 대해서는 약 50% 분석을 하고 있고 국내 발생 사례에 대해서는 16.9%의 사례에 대해서 변이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에 유전체 분석을 한 결과 총 762건에 대한 변이 분석 결과 국내 발생은 695건 중에 35건, 5%에서 변이가 확인이 되었고 해외 유입 사례에서는 52.<br /><br />2%에서 변이가 확인이 되어서 총 70건의 변이 바이러스 감염을 추가로 확인을 하였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된 사례를 유형별로 보면 영국 변이가 338건으로 가장 많고 남아공 변이가 지난주에 5건 증가해서 51건, 브라질 변이가 1건 증가해서 10건이 보고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난주에 확정된 변이 바이러스 사례를 보면 해외 유입이 35명이고 국내에서 발생된 경우가 35명으로 국내 발생 사례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집단발병 관련해서 9건의 국내 집단감염 사례에서 영국 변이가 추가로 더 확인이 돼서 특히 울산지역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집단발병 사례가 지속적으로 확대 보고되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현재까지 확인된 변이 확정 사례는 총 449명이고 이와 더불어서 국내 감염으로 역학적으로 연관된 사례는 465명으로 총 914명이 국내 변이 바이러스 사례로 확인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은 해외 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 등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감정 및 분석 확대를 지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외에서 입국한 자가격리 대상자와 동거 가족은 격리해제 시까지 자가격리 생활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당부를 드립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코로나19 유행의 위험요인과 당부 사항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첫 번째 위험요인은 여전히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 지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중순부터 거리두기를 완화한 이후에 일상생활 속에서의 지역감염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경증, 무증상 감염자가 지역 감염원으로서 누적되면서 전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보건, 방역당국은 의료기관, 약국에 방문하시는 유증상자에 대해서 조기의 검사를 위해서 검사 의뢰를 활성화하고 또 보건소의 선별진료소 검사 대상을 증상 유무나 역학적 연관성과 관계없이 검사를 확대했으며 임시선별검사소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유행 지역에 대한 주민 일제 검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감염 취약시설 및 고령층에 대해서는 신속한 예방접종으로 고위험군을 보호하고 변이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오늘부터는 항공 승무원에 대한 조기 접종도 시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두 번째 위험요인은 최근에 다중이용시설, 교육시설 그리고 사업장 중심의 집단발생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찾는 헬스장, 유흥시설,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집단발생이 지속되고 있고 개학 이후에 학교와 학원 관련된 전파 위험도도 높아...